JSP(77)
-
JSTL param 객체
관리자 일반회원 비회원
2022.12.19 -
JSTL 제어문 실습
day37 프로젝트 내 WebContent 내 WEB-INF 내 lib 내 jstl.jar 와 standard.jar 을 넣는다. 국어점수 영어점수 수학점수 전송 총점 : 참 잘했어요! 분발해주세요.
2022.12.19 -
JSTL 제어문 - 반복문
day37 프로젝트 내 WebContent 내 WEB-INF 내 lib 내 jstl.jar 와 standard.jar 를 넣는다. forEach 연습 결과 index : count : begin : end : step : first : last : forEach문에서 step이 2일 때 index : count : begin : end : step : first : last : 에서 는 forEach 구문에서 돌고 있는 중의 i의 현재 값, step이 더해져서 계산된 값을 나타낸다. 에서 카운트는 forEach 구문에서 몇 번 돌고 있는 중인지를 나타내는 값이다. status.first는 첫번째 값이니? 아니니? 하는 Boolean 타입이고 status.last는 마지막 값이니 ? 아니니? 하는 Bool..
2022.12.19 -
JSTL 제어문 - 조건식
day36 프로젝트 내 WebContent 내 WEB-INF 내 lib 내 jstl.jar 와 standard.jar 를 넣는다. member 현재 로그인된 계정은 계정입니다. 현재 로그인된 계정은 일반 계정입니다. member 관리자 회원 비회원 남자입니다. 여자입니다.
2022.12.19 -
JSTL 출력의 종류
day36 프로젝트 내 WebContent 내 WEB-INF 내 lib 내 jstl.jar 와 standard.jar 를 넣는다. ${name} ${""} Tag가 jsp 화면에 그대로 노출될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escapeXml을 쓴다고 한다. JSTL로 처리를 할 때, 태그처리를 자동으로 해서 생기는 문제라 한다. 기본적으로는 escapeXml 이라는 값이 true로 처리된다고 하며, 이속성은 와 같은 값들을 등으로 바꾸어 화면에 뿌린다. 하지만, 태그를 사용해서 사용자가 의도한 태그의 기능그대로 예를 들면 를 써서 글자를 굵게 보이게 하고 싶다던가 할때 원하는 대로 뿌려줘야 할 경우에는 escapeXml="false" 를 써주면 된다. escapeXml을 설정하지 않거나 true로 설..
2022.12.19 -
JSTL
day35 프로젝트 내 WebContent 내 WEB-INF 내 lib 내 jstl.jar 와 standard.jar 를 넣는다. JSTL TEST(변수) \${name } ====> ${name} 한국 nation 삭제 후 값은 >> [] >> 변수 값이 삭제됨
2022.12.19